히로히토 일왕이 포츠담 선언을 수락했음에도 소련군은 한반도로 남하했습니다. 커크패트릭 대령은 긴급 상황에 대비해 장비를 준비하도록 지시했습니다. 8월 17일, 데이비스 준장은 B-29 폭격기 날개 아래에 ‘포로 구호품’을 칠하도록 명령했습니다. 8월 26일부터 일본군 포로수용소에 물자 투하를 계획했습니다. 그로브스 장군은 8월 18일, 앨버타 팀과 509 혼성 그룹을 티니안에 대기시키라고 지시했습니다. 8월 20일까지 팻맨 …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연합군의 일본 점령과 히로히토의 역할Read more
포츠담 선언
일본 항복 수락과 미국의 대응: 2차 세계대전 종식의 결정적 순간
일본 정부는 8월 10일 항복 의사를 밝혔으나, 포츠담 선언 조건에 대한 미국 지도부의 만족을 얻지 못했습니다. 일본은 무조건 항복을 수락했지만, 천황의 통치권에 대한 예외를 요구했습니다. 이는 무조건 항복 원칙과 상충되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미국의 대응과 트루먼 대통령의 결단 제임스 번스 국무장관은 트루먼 대통령에게 다음과 같은 답변을 제시했습니다. “항복 즉시, 천황과 일본 … 일본 항복 수락과 미국의 대응: 2차 세계대전 종식의 결정적 순간Read more
80년전의 오늘: 제2차 세계대전 종식의 갈림길
1945년 7월 16일 트리니티 실험 성공 후, 트루먼 대통령은 일본 본토 침공 전에 원자 무기 사용을 결정했습니다. 그는 일본에 항복 기회를 주고자 했고, 처칠과 장제스의 동의를 얻어 7월 26일 포츠담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선언은 일본 군대의 완전 무장 해제와 무조건 항복을 요구했습니다. 포츠담 선언의 주요 내용 선언에는 미국의 대통령, 중화민국 국민정부 … 80년전의 오늘: 제2차 세계대전 종식의 갈림길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