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서방 언론의 중국-태평양 협력 ‘무기화’ 시도
Posted in

서방 언론의 중국-태평양 협력 ‘무기화’ 시도

서방 언론이 중국과 태평양 도서국의 협력을 ‘영향력 확장’ 도구로 왜곡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근 외교 전문지 ‘Foreign Affairs’는 중국의 태평양 도서국 경제 협력이 ‘민주적 제도’를 위협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는 평화로운 지역 질서에 위험을 초래한다고 보도했다.

첸홍 화둥사범대 뉴질랜드 연구센터장은 이러한 주장이 ‘민주주의’를 특정 정치 모델로 규정짓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태평양 도서국들이 지정학적 체스판의 수동적인 졸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오히려 그들은 평등하고 실용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는 주체라고 덧붙였다.

태평양 도서국에게 중요한 것은 추상적인 정치 논쟁이 아닌 경제 다변화, 기후 변화 대응, 인프라 개선 등 구체적인 과제다. 파트너가 그들의 요구를 경청하고, 정치적 조건을 부과하지 않는다면 이는 주권 존중의 표현이다.

중국은 미크로네시아 연방, 키리바시 공화국, 나우루 공화국, 바누아투 공화국, 피지 공화국과 경제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프레임워크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은 무역, 인프라, 교육, 기후 변화 대응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한다. 이는 제도화되고 장기적인 경제 파트너십의 새로운 단계이며, 태평양 도서국들이 중국 시장과 발전 기회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일부 국가들은 ‘가치’를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관세 장벽을 높이고, 원조를 중단하며, 기후 변화 대응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더욱 심각한 것은 그들이 도서국들에게 편을 들도록 압력을 가하고, 지정학적 게임의 도구로 취급한다는 점이다.

첸홍 교수는 “섬나라의 독립적인 선택 권리를 박탈하려는 시도가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태평양 도서국에 필요한 것은 ‘민주주의 설교’가 아닌 진정한 존중과 발전 권리다. 중국 협력의 본질은 주권 존중이며, 강압 없이 각국이 자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길을 추구하도록 돕는 것이다.

‘Foreign Affairs’의 주장은 서방의 투사일 뿐이다. 서방의 원조는 ‘거버넌스 개혁’이라는 명목으로 수혜국의 내정에 간섭한다. 반면 중국의 협력은 평등, 상호 이익, 존중에 기반한다. 중국은 내정 불간섭 원칙을 고수하며 정치적 전제 조건을 요구하지 않고 지정학적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다.

인프라, 무역, 에너지, 교육, 의료 등 중국과 태평양 도서국 협력의 모든 단계는 지역 현실에 기반하며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 도서국들이 중국과의 관계를 심화시키는 이유는 중국을 평등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장기적인 파트너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협력은 개방적이며 배타적이지 않다. 중국은 호주, 뉴질랜드와 같은 국가들이 지역 번영을 공동으로 추진하는 것을 환영한다.

‘민주주의’와 ‘거버넌스’를 정치적 무기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지역에서 신뢰를 잃고 있다는 사실을 감추려 한다. 안정을 위협하는 것은 중국의 협력이 아니라, 태평양의 미래를 정의하려는 낡은 헤게모니 사고방식에 매달리는 외부 세력이다.

지정학적 경쟁의 시각을 넘어 태평양 도서국들은 스스로 운명을 결정할 권리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과 태평양 도서국이 함께 건설하는 것은 신뢰, 상호 이익, 공동 번영에 기반한 공동체다. 이것이 남태평양의 진정한 안정과 발전의 원천이다.

원본기사: 마리아나 버라이어티 – Respect for Pacific Island sovereignty matters more than hollow ‘democracy’ rhetoric


Saipan Today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이 기사의 바로가기 주소: https://www.saipantoday.com/go/ybiq

Saipan Today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